[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수요일, 야간 개장) -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2014
서울 88올림픽을 치뤄낸 대.한.민.국... 다시 찾아서 서울 88올림픽 배찌를 하나하나 쳐다보니,,, 아!!! 우리집에도 하나 쯤은 있었던 것 같은데,,, 란 생각이 든다. 어디갔지?? 그리고,,, 어릴 적 "호돌이인형"은 어디로 간건지,,,ㅡㅡ!! 국내 최초의 휴대폰이란다. 저 녀석 들고 다니면,,, 집 전화기 들고 나온 기분이 들려나?? 대통령 집무실도 만나본다. 뒤쪽 창문으로는 경복궁이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데~ 안쪽 불빛으로 사진찍기엔 꽝!!! [뮤지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2014.01.0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수요일, 야간 개장) -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 대한민국 1호 전자 제품 2014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도 내 눈에는 가장 볼거리였던,,, 대한민국 1호 전자 제품들~ 요즘 복고가 유행인데,,, 지금 사용해도 될 듯한 모던한 모양의 텔레비젼과 선풍기가 탐난다. ^ㅡ^;; 대한민국 1호 흑백 텔레비젼,,, (금성) 대한민국 1호 전화기,,, (금성) 대한민국 1호 칼라 텔레비젼 (삼성) 과 대한민국 1호 비디오 카메라,,, 대한민국 1호 칼라 텔레비젼,,, (금성) 대한민국 1호 VCR,,, (삼성) 대한민국 1호 에어컨,,, 대한민국 1호 라디오,,, (금성) 대한민국 1호 세탁기,,, (금성) 대한민국 1호 선풍기,,, 대한민국 1호 전자 제품들이 한자리에,,, 흥미로운 공간이다. 누군가에게는 추억이 될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새로움일 것이고,,, 초기형 전기밥솥,,, 시대별로 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수요일, 야간 개장) - 대한민국의 태동 2014
2013년 12월 29일 다녀갔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3년의 마지막 여행지(?)도 이 곳. 2014년의 첫 여행지도 이 곳.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다. 다녀간지 닷세만에 다시 찾은 것이다. 뭔가 못보고 지나친 것이 있어 아쉬움이 남아 머릿 속에 자꾸만 맴돈다. 마침 "수요일"은 "야간 9시"까지 개방되어 안성맞춤!! 저녁 풍경도 만나보고 싶었기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무료이며, 월요일은 휴관이고, 수요일과 토요일은 9시가지 개방하며, 나머지 요일은 오전 9시부터 6시 (5시까지 입장 마감)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8층 옥상 정원에서는 경복궁이 한눈에 내려다보여 경치가 아주 끝내준다. 야간에도 개방됐으려니 기대를 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야간에는 정원에 갈 수 없어 아쉬웠다. 오후,,, 모두가..
[서울역사박물관] 고도성장기 서울 + 피맛골 2013
길다면 긴시간,,, 짧다면 짧은 시간,,, 우리나라의 발전은 빠른 속도로 진행 된 것 같다. 우리네 할아버지, 아버지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 할까?? 전화기 마져도 귀했던 시절,,, 좌물쇠가 달려 있는 전화기 모습에 신기하기도 하고~ 지금 우리네 생활이 감탄(?)이 되어서 한참을 바라봤다. 자랑스러운 88서울올림픽,,, 지금은 추억 속으로 사라진 피맛골~ 대학생 시절~ 친구들과의 아지트 였으며 (피카디리극장과 더불어 ^ㅡ^;;) 같은 과 언니와 겨울에 찾았던 양은냄비에 끓여주던 맑고 시원한 조개탕,,, 그 맛을 항상 기억나게 해주던 곳이었는데,,, 아쉽다. 내가 사랑하고 좋아하는 서울에 대해,,, 조금 더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고, 피맛골처럼 추억을 떠올릴 수도 있어서 행복한 시간이었다. [뮤지엄] 서..
[서울역사박물관] 개항, 대한제국기의 서울 2013
프랑스 공사관 축소모형,,, 1900년 세계박람회에 우리나라 물품이 전시되었다는 것은 대단한 사건이었단가보다. 서울역사박물관의 것이 진품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에서도 만날 수 있다. 개화기답게 썬글라스가 눈에 띈다. [뮤지엄] 서울역사박물관 - 개항, 대한제국기의 서울 2013.12.29
[서울역사박물관] 조선시대의 서울 2013
가을엔 왜 그렇게 사람이 많았던 걸까?? 12월 29일. 주말인데도 불구하고, 너무 한가로운 "서울역사박물관" 내가 관람하기엔 한가롭고 여유로워서 최고였다. ^ㅡ^;; 서울역사박물관은 크게 네 구역으로 나뉘어진다. 첫 번째. 조선시대의 서울 두 번째. 개항, 대한제국기의 서울 세 번째. 일제 강점기의 서울 네 번째. 고도성장기 서울 다섯 구역으로 나누면,,, 서울 도시 모형 영상관이 있다. 하나하나 자세하게 읽어보고, 생각해보고, 살펴본다면,,, 3시간 이상은 걸릿 듯 싶다. 난,,, 내 생각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과 눈에 띄는 것 위주로만 보았는데도 2시간 정도 걸렸다. 관람을 마치고, 나오는 길엔 다시 한번 찾아서 더 자세히 봐야하는 생각도 남는다. 난 왜 이렇게 아쉬움이 많지?? 오전엔 대한민국역..
[서울역사박물관] 전차 381호 + 서울도시모형 2013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서울역사박물관까지 걸어왔다. 서울역사박물관에 들어가기 전, 나를 반겨(?) 주는 전차 381호. 전차 381호,,, 1930년경에 만들어져~ 1930년 ~ 1968년 11월 29일까지 운행되었고, 일본차량제조주식회사 (일본 나고야)에서 제조되었고, 2010년 8월 24일, 제 467호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애야,,, 도시락 가져가야지~ 오빠,,, 모자도 안 가져갔어~!! 전차와 지각생이란 이 작품은~ 김운성 / 김서경 부부작가와 그 아들 경보, 3인 가족의 공동 작품이라고 한다. 안에는 들어가 볼 수 있지만, 오래된 전차인지라,,, 의자에 앉아 볼 수 없으며, 손잡이도 만지면 안된다는 문구가 씌여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안으로 들어가본다. 오늘은 완젼히 박물관 투어하는 날!! 박물관 입..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바라 본 경복궁] 경복궁 내려다보기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8층 옥상정원(황토마루)에서 바라 본,,, 경복궁 2013
"경복궁"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8층 황토마루정원~ 야간 9시까지 문을 여는 수요일에는 간단한 야경을 볼 수 있겠다는 약간의 기대를 했건만,,, 6시면 출입통제다. ㅡㅡ!! 멀리까지 시원스레보여~ 스트레스가 한방에 날아가는 느낌이다. 날씨가 청명한 날에 와 봐야겠구나!! 광화문광장도 한 눈에 들어온다. 서울엔 볼거리가 많아 참 행복하다. 경복궁 내려다보기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8층 옥상정원(황토마루)에서 바라 본,,, 경복궁 2013 .12.29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 그리고, 카페테리아 2013
[4]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1988년 ~) 세계로 나가는 대한민국 ㅡ 경제 선진국을 향하여 ㅡ 대한민국의 미래 ㅡ 에필로그 올림픽과 월드컵을 치뤄 낼 만큼 성장한 대한민국,,, 현재의 IT강국인 대한민국. 최초의 핸드폰을 비롯해, 다양한 지나간 핸드폰 및, 게임 시설등도 전시하고 있다. 전시장도 크고, 볼거리가 많아~ 꼼꼼히 관람하기엔 많이 힘들었다. 그러다보니 마지막 전시실은 좀 얼렁뚱땅 지나친 건 사실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현재 상황(?)인지라,,, 후다닥 지나친 면도 없잖아 있다. 그래서 사진도 별로 없다. ㅡㅡ!! 전시실 이외에도 "카페테리아"와 "뮤지엄 샵", 그리고 3층과 8층에 "옥상 정원"이 있는데,,, 3층은 그냥 쉼터라 생각하면 될 것 같고, 8층 옥상 정원에선 "경복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성장과 발전 2013
[3]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1961년 ~ 1987년) 경제개발과 산업화 ㅡ 변모하는 도시와 농촌 ㅡ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주의 "대한민국 성장과 발전"에서는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던 모습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생활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통해 알 수 있다. 대한민국 1호 흑백 텔레비젼 (금성) 대한민국 1호 냉장고 (금성) 대한민국 1호 선풍기,,, 다양한 대한민국 1호 제품들을 만날 수 있었다. 하나하나 카메라에 담았어야 했는데,,, 다른 건 몰라도 이 부분은 아쉬움이 좀 있다. 모두 대한민국 1호들인데,,, ㅡㅡ!! (다시 와서 자세히 살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대한민국 1호 고유모델 자동차 (현대 포니 1..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기초확립 2013
[2] 대한민국의 기초 확립 (1945년 ~ 1960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ㅡ 6.25전쟁과 전후 복구 ㅡ 전후 근대 국가 토대 구축 "대한민국 기초 확립"에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와 6.25전쟁의 참혹한 실상 그리고 그 어려움을 이겨내고 전후 근대국가의 토대를 구축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또한 시민의 힘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려 민주화 운동의 토대가 된 4.19혁명의 의미를 되살펴 볼 수 있다. 전쟁 이후,,, 판잣집. 여성의 사회 진출,,, 초등학교(국민학교) 의무교육 실시 (1954년),,, 앞에 보이는 교실의 학생 수를 세어보니, 80명이 넘는다. 난 60명까진 해봤는데,,, 정신 없는 교실 모습이 정겹기는 하다. ^ㅡ^;;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교과서,,, 1955년 8월, 생산을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의 태동 2013
2013년 마지막 여행 날이었던,,, 12월 29일. 날씨도 춥고, 항상 지나다니기만 해서 궁금했던,,,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서울역사박물관"을 방문해보기로 했다. 같은 날 첫번 째로 찾은 곳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012년 12월 26일 개관하여,,, 1년여동안 100만명의 시민들이 다녀갔다고 한다. 난 왜 이제서야 왔는가?? ㅡㅡ!! 일단, 이 곳을 방문한 소감을 이야기 하자면,,, 볼거리도 많았고, 전시 품목도 많고, (복제품도 있지만,,,)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해 한 눈에 한 자리 (건물)에서 볼 수 있어 참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예전의 "문화관광체육부 청사로 리모델링을 하여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삼청동 카페거리] 삼청동, 카페거리,,, 겨울풍경 2013
삼청동 카페거리가 좋아 자주 찾게 된다. 그러다보니, 못 보던 카페도 있고, 보이던 카페가 사라진 곳도 많더라는,,, 내가 좋아했던 헬로키티 카페도 지난 11월 이후에 없어졌고, 복정식당 자리도 카페였는데 없어졌고,,, 그 외에도 많은 카페가 문을 닫았다. 그 반면에 이곳 저곳, 여기저기에 예쁘고 세련된 카페들도 많이 문을 열었다는... 와플이 맛있다는 빈스빈스는 이사갔다. 옛날 자리에서 조금 더 삼청터널 쪽으로 이동. 여기저기에 크리스마스와 신년 시즌이라 아기자기하고, 예쁜 장식이 많아~ 더 예쁜 삼청동 카페거리. (2014년 8일에 다시 찾았는데,,, 아직도 이런 모습이다.) 지날 때마다 이해가 안 되는 벽화,,, 왼쪽에 고개 숙인 저 남자는 뭘까?? ㅡㅡ!! 2013년도를 멋지게(?) 장식했던 마지..
[서울특별시청 시민청] 서울, 시민청 - 구름물고기 + 활력콘서트 2013
시민청의 가장 큰 볼거리(?)로는 "구름물고기"였다. 시민청 지하 1층 천장을 밝힌 구름물고기,,, 앙증맞은 집들도 사랑스럽다. 2014,,, Happy New Year~!! 오늘 횡제했다. 비록 중고책이긴 하지만,,, 완젼 새것 같은 색을 한 권에 500월에 구입. 가끔 이런 행사를 하는데~ 잘 고르면 득템도 할 수 있다. 책 이외에도 악세서리, 장난감, 등등을 싼 가격에 판매한다. 활짝 라운지에서는 활력콘서트가 상시 열리는데,,, 볼만한 공연도 많더라는,,, 공세미가족의 신명나는 사물놀이,,, 다섯 식구 모두 진짜 가족이란다. 사물놀이 이외에도 자전거묘기, 삐에로 아저씨의 풍선 공연등도 관람했는데, 시민들과 가까이에서 함께 하는 공연이라 더 흥미로웠다. 한국인도, 외국인도, 어린이도, 어른도,,, 모..
[서울특별시청 시민청] 서울특별시청 - 시민청 + 폐품의 변신, 예술로 거듭나다 2013
어디를 갈지 정하지 않은 채,,, ㅡㅡ!! 광화문으로 왔다. 그러다가 정해진 곳이~ "시민청" 시민청은 여러번 가봤지만, 갈 때마다 나를 실망시킨 적이 없다...^ㅡ^;; 1호선과 2호선 시청역에서 바로 시민청으로 연결된다고 하는데,,, 난 5호선을 타면 광화문까지 한 번에 올 수 있고, 지하보다는 바깥으로 걸어가는 것이 더 좋기 때문에,,, 종로를 찾게 되면 광화문에서 일단 내려~ 걷고 또 걷기를 좋아한다. 너무나도 사랑스러운 파란하늘,,, 몇 일 전 내렸던 눈이 이순신 장군이 서 계신 분수대 주변만 그대로 남아 있다..!!?? 걸어서 시민청에 도착,,, 건물 모양이 신비롭고, 예쁘기는 하지만,,, 약간은 외계느낌의 건물인지라~ 2013년 최악의 건물 "1위"에 선정된 곳이기도 하다...ㅡㅡ!! 최악의..
[서울N타워] 남산공원, 서울N타워 + 서울야경 2013
난,,, "서울"이 정말 좋다. "서울"과 사랑에 빠졌다...^ㅡ^;; 지난번에는 서울N타워 색깔도 바뀌고,,, 조명을 이용하여 영상도 봤었는데,,, (우연히) 그것을 하는 정확한 시간은 모르겠다. 서울N타워 전망대 위에서의 풍경도 좋지만,,, 시원한 산바람을 맞으며~ 서울N타워 아래 전망대라고 해야 하나?? ,,, 이 곳에서 바라보는 서울 야경도 황홀할 정도로 아름답다. 쌀쌀한 바람이 심해 오래 머물지는 못했다. ㅡㅡ!! 내려올 때도 올라올 때와 마찮가지로,,, "케이블카"를 이용했다. 요즘 남산 케이블카 이용객이 그리 많지 않은 모양이다. 예전에는 꽤 많은 케이블카를 보고야지만, 탑승 차례가 돌아왔는데,,, 올라갈 때도 내려올 때도 한대만 보내고서 탑승!! 역시나 버스 이용객이 많은 것 같다. 뭐~ ..
[서울N타워] 남산공원, 서울N타워 - 전망대에서 내려 본 서울,,, 늦가을 + 낮과 밤 + 일몰 2013
테디베어뮤지엄 관람을 마치고,,, "서울N타워 전망대"로 오른다. 1초에 40M를 이동하는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타고 전망대로 오른다. 서울 N타워 전망대에 오르면 서울 전경이 시원하게 펼쳐지는데, 마침 날씨도 쾌청하고 맑아서 전망대에 오르기 좋은 날이었다. ^ㅡ^;; 전망대에 올라 가장 먼져 눈에 띈 것은,,, 남산의 늦가을 풍경!! 울긋불긋,,, 이보다 더 아름다울 순 없다.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오면서도 늦가을 정취를 바라보며, 탄성을 계속 질렀건만,,, 전망대에 오르니, 그 감동은 배가 된다...>ㅡ
[2013 대한민국 김치문화축제] 김치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 경복궁 2013
아쉽게도 유네스코에 등재 된 것이 우리의 민족 음식 "김치" 자체는 아니지만, "김치문화"에 대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축하할 일이다. 그 일원이었던 듯 싶은데,,, 경복궁 - 광화문과 흥례문 중간에서 "2013 대한민국 김치문화축제"가 2013년 5일과 6일 이틀에 걸쳐 열렸었다. 기대가 컸던 것은 아닌데, 규모가 작아도 너무 작다. ㅡㅡ!! (참고로 내가 바로바로 포스팅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이번 포스팅은 최소한 축제 기간이 지나서 올려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작았다.) 규모가 이런 줄 알았다면, 아마 이 곳에 안 오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ㅡㅡ^ 김치문화,,, 유네스코에 등재됐는데,,, 좀 더 볼거리라든지, 체험할 거리가 있었어야 하지 않았나~ 아쉬움 투성이다. 휙~ 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