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궁의 봄

(12)
[창덕궁] 매화 만개한 창덕궁 # 봄날의 고궁 # 창호개방 2022 ((사진 촬영 = 2022년 4월 1일)) 창덕궁의 홍매화 시즌엔 오픈런을 해서 오후 1시 즈음 사람이 너무 많아지는 시간이 되면 빠져나와야 한다. 2022년 3월 중에 창덕궁 홈페이지 공지에서 "고건물 창호 개방, 채광 들이기 행사"를 한다는 글 보았으나, 기간을 놓쳐 아쉬워 하던 중이었는데 주변을 둘러보니 기간이 지났음에도 진행 중인 것처럼 보였다. 평소엔 굳게 닫혀 있던 창호가 열려 있는 곳이 많아 창덕궁을 나서며 가볍게 한 바퀴 다시 돌아봤다. 요즈음엔 날씨만 좋으면 상시 열려 있기에 행사를 따로 하지는 않는 듯하다. 열심히 걸었던 하루. 일찍 따뜻해진 날씨에 집에 돌아와 시원하게 맥주 한 캔!!! [창덕궁] 매화 만개한 창덕궁 # 봄날의 고궁 # 창호개방 2022.04.01
[창덕궁] 홍매화 흐드러지게 핀 고궁의 봄날 # 산수유 # 고궁의 봄 2022 ((사진 촬영 = 2022년 4월 1일)) 봄철 날씨가 가물었냐 가물지 않았냐의 차이는 있지만, 창덕궁 홍매화는 실망을 준 적은 없었다. 작년 2022년 4월 1일 기준으로 80% 만개. 창덕궁엔 창경궁으로 통하는 함양문 즈음에 2그루의 홍매화가 있다. 삼삼화 뒤편에 한그루, 성정각 쪽으로 한그루... 성정각 쪽의 홍매화는 매번 만족스럽지 못했는데 2022년에 제대로 핀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행운의 해로 기억된다. 한번의 방문으로는 꽃상태를 알 수 없어서 봄날의 창덕궁은 나의 놀이터가 되곤 한다. 산수유... [창덕궁] 홍매화 흐드러지게 핀 고궁의 봄날 # 산수유 # 고궁의 봄 2022.04.01
[창덕궁] 홍매화 + 매화 활짝 핀 풍경 # 고궁의 봄 # 봄철, 서울 핫플레이스 2022 ((사진 촬영 = 2022년 4월 1일)) 남도엔 봄이 한창인 모양이다. 제주는 이미 목련까지 만개(지고 있는 곳도 있다더라)했다던데... 서울은 평년 기준 아직 열흘은 더 있어야 한다. 포스팅하지 않은 사진들이 많아 폴더를 쭉~ 찾아보니, 재작년인 2021년 3월 18일에 창덕궁 홍매화가 60% 정도 개화 했더군. 그 해엔 유난히 겨울이 따뜻했던 모양이다. 서울은 봉은사 홍매화가 보통은 봄의 시작이다. 다음주 즈음으로 절정을 이룬다는 소식이 들려오던데... 그렇다면 창덕궁 홍매화는 3월 말에서 4월 초는 되어야 볼만한 듯. 봄이 되면 유일하게 놓치지 않고 찾고 있는 "창덕궁 홍매화" 평균적으로 4월 4일, 내 생일 즈음으로 절정을 이루어서 생일 선물 받는 기분으로 나들이를 한다. 아직 열흘 정도의 시간..
[창경궁] 창경궁, 봄날은 왔다 # 생강나무꽃 # 산수유 2018 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걸어왔다. 어디를 기준으로 잡아야 할지는 모르겠으나~대략 경복궁에서 창덕궁까지는 걸어서 25분 정도 걸린다. 여기저기 기웃기웃하면 30~40분 정도 걸리고,빠른 걸음으로 씩씩하게 걸으면 20분 조금 안 걸린다. 난, 종로(중구)에 오면, 이동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고,왠만해선 걸어다닌다. 대중교통을 타러 가는 시간과 걸어가는 시간의 차이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걸어가면서 구경할 것고 많고.운 좋으면 예쁜 풍경을 카메라에 담을 수도 있다. 그리고, 운동도 된다 :) 창덕궁과 창경궁은 가운데 위치한 "함양문"을 통해 입장권을 한번만 구입하면~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그래서 창덕궁과 창경궁을 오고 갔는데~사진은 "창경궁" 먼져~!!! 창경궁엔 "생강나무꽃"이 유난히 많이 피..
[경복궁] 봄이 왔나 봄,,, 화사한 경복궁의 봄 2015 올 봄, 나에게 선택된 고궁은,,, "경복궁"과 "창덕궁" (창덕궁을 나중에 갔는데 먼져 포스팅) 두 곳 모두 방문 시기 하나는 잘~ 맞춘 것 같다. 봄꽃은 봄바람이나 봄비가 내리면 금새 꽃잎이 떨어져 버리기 때문에~ 가장 좋은 때를 맞추기가 정말 힘들다. 꽃이 오래 유지되어 있다면 좋으련만,,, 오후, 경복궁에 도착하니~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이 한창이다. 경복궁 # 광화문 경복궁 # 흥례문 4월초, 경복궁에서 다양한 봄꽃이 화사하게 활짝 피었다. 앵두꽃, 살구꽃, 매화, 벚꽃 등등,,, 특히 세종대왕께서 간식으로 많이 즐기셨다는 "앵두"가 많다. 경복궁 # 영제교 경복궁 # 근정문 경복궁 # 영제교 밝은 색깔로~ 가장 화려한 앵두꽃. 경복궁 # 흥례문 경복궁 # 근정전 멀리 보이는 인왕산,,, 외국..
[경복궁] 경복궁의 봄 + 근정전 + 광화문광장 2013 무슨말로 표현하리오,,,, 경복궁의 봄은 아름답다?? 경복궁의 봄은 신비롭다?? 경복궁의 봄은 아기자기하다?? 외국인과 더불어 봄소풍 나온 학생이며, 유치원생이 많았던 하루,,, 다른 시각에서 바라 본 근정전,,, (바닦에 앉아서 ^ㅡ^;) 근정문을 지나고,,, 영제교와 흥례문을 지나,,, 광화문광장으로 이동,,, 뒤로는 광화문이 보이고, 그 앞으론 항상 흐뭇해 보이시는 세종대왕님께서 자리하신다. 난 이 곳 광화문 근처가 좋다. 아마도 자주와보고 눈에 익어서 그런것 같다. 매번 생각한다. 나의 소풍 장소가 너무 종로구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걸~ 서울에서도 다른 소풍 장소를 찾아봐야 할 것 같은데,,, 어디가 좋을까>?? 그렇게 나의 4월 18일. 기분 좋은 봄소풍은 끝났다. 다시 한번 어디를 갔었는지 ..
[경복궁] 수양벚꽃 활짝 핀 경회루 + 수정전 + 버들마루 Cafe 2013 경회루엔 "수양벚꽃"이 한창이다. 늘어진 모습이 매력적인,,, 수양벚꽃 때는 4월 중순,,, 버드나무 가지에 여린잎도 나기 시작했다. 수정전과 마주한 "Cafe 버들마루" 다리도 쉬고, 배도 출출하고,,, 겸사겸사 카페로 들어갔다. 따뜻한 아메리카노 한잔과 달콤한 머핀,,, 난 여유를 즐겼다. 인터넷 두산백과를 찾아보니, 경복궁 "수정전"은~ 2012년 3월 2일 보물 제 1760호로 지정되었고, 세종 때 "집현전"으로 사용하였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867년(고종 4년)에 재건하면서 수정전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재건 당시 수정전 주변에는 약 200칸의 행각과 전각이 들어서 있었는데, 이들은 궐내각사라 불렸으며, 1910년 이루 모두 헐렸다고 한다. 1894년 ~1896년까지 조선의 개혁을 주도..
[경복궁] 봄꽃 핀 고궁을 걷다 + 향원정 + 함화당 2013 정독도서관을 나와 국립민속박물관 입구쪽 돌담길을 다시 걸었다. 4월 중순이라 경복궁을 광화문쪽에서 순서데로 보는 것보다 안쪽의 향원정과 경회루 쪽이 더 화사 할 것 같아 국립민속박물관을 통과해서 경복궁으로 입장했다. 뭐,,, 삼청동쪽에서 걸어나왔으니~ 이 곳을 통해 입장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 국립민속박물관쪽으로 들어오면 "향원정"과 가깝다. 벚꽃, 개나리, 진달래, 앵두꽃, 복숭아꽃, 매실꽃,,,등 봄꽃이 한창이다. 봄,,, 참 좋다. 1년 365일 봄이면 얼마나 좋을까?? 그럼 재미없겠지?? [경복궁] 봄꽃 핀 고궁을 걷다 2013.04.18
[창덕궁] 봄꽃 향기 가득한 고궁,,, 대조전 + 인정전 + 경훈각 + 진선문 + 돈화문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3 햇살 좋은 봄날이다. 이젠 약간의 더위가 느껴질 정도로 따사롭다. 모자, 썬글라스, 양산이 없어 여름도 오기 전에 까만콩이 될까,,, 걱정은 되지만~ 맑고 선명한 사진이 담길 것을 생각하니 기분이 좋다. ^ㅡ^;; 올 봄꽃을 만나는 시기는 정말 잘 정한 것 같다. 가는 곳마다 "절정, 만개"다. 이렇게 날짜 정확히 맞추기도 쉽지 않은 일인데,,, 올해는 뭔가 잘 풀릴 것 같은 느낌이다. ^ㅡ^;; 앵두꽃 활짝피고,,, 후미진 곳의 "금낭화"도 수줍게 피었다. 볼 때마다 새로운 "수락간" 그 시절 이 곳에서는 맛있는 향기가 진동했을 것이다. 창덕궁의 정식 침전으로 왕비의 생활 공간이었던,,, 대조전. 비극의 역사가 담겨있는 왕비의 침전이다. 마지막 왕후의 침대,,, 창경궁 쪽에서 건너오다보니~ 창덕궁을 반..
[창덕궁] 흐드러지는 봄꽃 - 낙선재 일원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3 오늘의 봄꽃 촬영지 중에서 최고의 베스트 장소를 뽑자면,,, 바로 이 곳, 낙선재 일원 앞 정원(?)이라 할 수 있겠다. 다양한 봄꽃들이 흐드러졌다. 창덕궁은 문화재보호및 여러가지 이유로 후미진 곳의 출입은 엄격히 통제되는 곳이다. 그래서 안쪽으로 들어가 볼 수 없어 아쉬웠던 곳이기도 하다. 물론 밖에서 바라다보이는 풍경도 훌륭하다. 벤취에 앉아 한참 바라보며 난 행복해졌다. [창덕궁] 흐드러지는 봄꽃 - 낙선재 일원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3.04.18
[창경궁] 창경궁, 대온실에서 희귀한 꽃을 만나다 2013 창경궁은,,,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이 1483년 창덕궁 동쪽에 세운 궁궐이다. 창덕궁과 경계없이 하나의 궁궐로 사용하여 둘을 합쳐 동궐이라 칭했다. 창경궁 터의 역사는 고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세종이 즉위한 1418년 고려의 남경 이궁터에 상황 태종을 위한 수강궁을 세운 것이다. 성종은 창덕궁이 좁아 세 명의 대비를 위한 공간으로 수강궁을 확장 보완하면서 공사 도중 "창경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창경궁은 창건 초기에는 쓰임새가 그다지 많지 않았으나, 임진왜란 이후 창덕궁이 정궁 역할을 하면서 이궁으로서 활용 빈도가 높아졌다. 동양의 궁궐은 보통 정전을 남향으로 하며 남복 중심축을 따라 건물을 엄격하게 배치하는데 창경궁의 중심 부분은 특이하게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려 때 동향이었던 것을 존중했다..
[창경궁] 봄의 향기 가득한 고궁 2013 다양한 봄꽃들,,, 따사로운 봄볕에 형광색을 입혀 놓은 듯 자체 발광이다. 봄꽃과 어울어진 "함인정" 작은 꽃, 큰 꽃,,, 어느 꽃 하나 지나칠 수 없는 봄. 언덕엔 "제비꽃"이 한가득이다. 땅도, 나무도,,, 초록으로 물드는 봄. 노란색 산수유,,, 싱그러운 초록이 좋다. 행운일까?? 창경궁의 개나리도 절정이다. 경춘전과 함경전,,, 다양한 봄꽃이 절정을 맞았다. [창경궁] 봄의 향기 가득한 고궁 2013.04.18